지식 쌓기

virtualization based security disable(VBS disable)

도탑 2020. 7. 9. 15:46
반응형

은행 사이트 사용하는데 자꾸 접속할때마다 새로설치가 짜증난다. 

보안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항상 은행용 가상머신은 사용해 왔었는데, 어느 순간 잊어버리고 있었다. 

하여 가상화 머신을 설치 고려중에, 

vmware 보다 windows 자체 기능을 사용하는게 성능면에서 낫겠다 싶어서 hyper-v를 설치해봤는데, 음....뭐가 문제인지 windows10 설치가 잘 안된다. 

 

HYPER-V 설치와 삭제는 간단하다. 

 

'앱 및 기능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찾아가서 요런거 체크하거나 체크 해제하면 된다. 

다만 요놈이 또 라이젠마스터와 충돌을 일으킨다. 

안그래도 OS 설치가 잘 안되서 빡치는데, 라이젠마스터까지 실행이 안되니 더 빡쳤다. 

그래서, 삭제했다. (OS 설치하기 위해 삽질하는게 힘들어서가 아니다!!! 진짜다!!! 라이젠 마스터 실행 안되서 삭제했다.....진짜다!!!)..."아! 안물안궁 이구나...."

 

뭐 아무튼 삭제 했다. 

 

어라? 그런데도 여전히 라이젠 마스터가 실행이 안된다. 

VBS 어쩌구 저쩌구 메시지가 뜬다. 이때만해도 뭐 별거겠니...해서 스샷이 없다. 

 

아무튼 그래서, 검색했다. 

검색하니 뭐라뭐라 나오는데, 대부분 영어다....스킵스킵~~

대충 찾아보니 

레지스트리에 한줄 넣어주면 된단다.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security/identity-protection/credential-guard/credential-guard-manage

 

Windows Defender Credential Guard 관리(Windows 10) - Microsoft 365 Security

그룹 정책, 레지스트리 또는 하드웨어 준비 도구를 사용 하 여 Windows Defender Credential Guard를 배포 하 고 관리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이 문서 중간쯤에 있다.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DeviceGuard로 이동합니다.
  • EnableVirtualizationBasedSecurity는 새 DWORD 값을 추가합니다. 이 레지스트리 설정의 값을 1로 설정하면 가상화 기반 보안이 사용하도록 설정되고 0으로 설정하면 가상화 기반 보안이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됩니다.

뭐 이런 내용이다. 

windows+r 키를 눌러보자.

windows의 실행창이 뜬다. 

regedit 라고 입력하자. 

 

그러면 레지스트리가 뜬다. 

일단 저 위에 나열된 경로에 가보자. 

필자는 이미 생성해서 존재하지만, 처음에는 없었다. 

가서 오른쪽 창에 우클릭 새로만들기 > DWORD > EnableVirtualizationBasedSecurity 라고 이름을 입력하면, 값은 기본이 0이 된다. 활성화 시키려면? 1로 수정하면 된다.  

그러면 끝이다. 

재부팅 해보자.

재부팅 안해도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을지 모르는데, 필자는 모른다. 

그냥 재부팅 하자. 

 

하던대로 vmware나 설치해야지. 

 

끄ㅌ~~